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열응력
- 접촉쌍
- 레이놀즈의 수
- 대류열전달
- 해석좌표계
- 감쇠계수
- 절대좌표계
- 대칭성문제
- 사용자좌표계
- 요코크기
- 복사열전달
- 요소자유도
- 반사대칭
- 위상최적설계
- 접촉해석
- 열팽창계수
- 수동 요소망
- 초기조건
- 경계조건
- CAE용어
- 형상최적설계
- 찌그러진 요소
- 요소망
- 감쇠
- 접촉탐색
- 절점자유도
- 자동 요소망
- 자코비언
- 4면체 요소
- 격자크기
- Today
- Total
목록설계(Design)이야기 (31)
밍쓰 지식공유처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입니다 오늘은 기구 설계를 하시는 분이라면 제품 설계를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되며, 많은 고민이 되는 부분인 기하 공차의 종류와 기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기하공차란 무엇일까요 ? 설계자가 설계하는 제품의 경우 부품이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지만 부품이 2가지 또는 수십가지 등 여러가지로 구성된 경우도 있습니다.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는 설계가 비교적 간단하게 진행되겠지만, 부품이 2개 이상 ~ 여러가지로 이루어진 경우는 각 부품의 치수 오차나 호환성 및 조립성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각 부품의 형상이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상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는 뒤틀리거나, 어긋나거나, 축을 중심으로 흔들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정..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입니다. 오늘은 일반 철강 재료 종류에 따른 용도를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철강은 함유된 성분에 따라서 종류가 구분이됩니다. 종류에 따라서 특징이 상이하여 사용되는 용도도 달라지게되며, 재질 종류에 따라서도 제공되는 소재의 형상도 평강, 각재, 육각재, 환봉, 강판, 형강 등으로 다르게 제공됩니다. 1. SS400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1) 용도 : 일반 기계 부품 (주로 Frame) 2) 특징 - 일반적으로 SS(Steel-Structure)라는 기호는 사용하는 재료이며, 뒤에 숫자는 인장강도를 뜻합니다. - SS400은 인장 강도가 400N/mm로, 가공성, 용접성이 용이하가, 주로 Frame 제작 시 사용합니다. 3) 평강, 각재, 환봉, 강판, 형강 2. SS400D (연마..

판금품 설계 시 조건에 대해서 공유 드리려 합니다. 판금품의 경우 재질 / 두께에 따라서 가공 가능한 형상 조건이 있습니다. 판금품으로 주로 사용하는 재질은 SPCC, A5052, SUS304입니다. SPCC는 냉간압연강판으로 탄소함량이 적어 잘 구부러지기때문에 판금품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자동차 제품이 많이 사용됩니다. A5052는 알루미늄 계열로 알루미늄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재질입니다. 재질 및 두께에 따른 절곡치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Bending 형상 재질 최소 치수 SPCC A5052 SUS04 a b c 1.0 - 1.0 - 5.0 - 1.6 1.5 1.5 - 7.0 - - 2.0 2.0 - 9.0 - 2.3 - - - 10.0 - 3.2 3.0 3.0 - 12.0 - 1.0 - 1...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입니다. 오늘은 재료의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라는 것은 현장에서는 "후처리"라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재료의 표면에 내식성이나 외관 등의 성질을 높이기 위해 도금이나 도장을 하는 것을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라고 합니다. 여기서 도금이란? 금속이나 비금속의 표면에 금이나 은 종류의 금속을 얅게 입히는 것을 말합니다. 도장이란? 표면에 도료를 바르는 것을 말합니다.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가 되는 방법에 따라 적용되는 재질이나 특징이 달라집니다. 1. 화학처리 (화학피막) (1) 3가 크로메이트 처리 (Chromate treatment) 1..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 입니다. 기구적 조립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나사의 경우 나사를 선정할 시 나사의 인장하중/전단하중을 고려하여 나사의 크기와 개수를 선정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사가 파손되거나 풀리면서 조립된 기구물이 풀리면서 파손 되어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트가 인장하중을 받는 경우 Pt : 축방향의 인장하중 (kgf) σb : 볼트의 항복응력 (kgf/mm2) σt : 볼트의 허용응력 (kgf/mm2) (σt = σb / 안전률α) As : 볼트의 유효단면적 (mm2) d : 볼트의 유효직경 (곡경) (mm) 볼트가 전단력을 받는 경우 P : 전단하중 (kgf) τt : 볼트의 허용응력 (kgf/mm2) (τt = 0.72σb / 안전률α) As : 볼트의 유효단면적 (mm..
스테이지(Stage)란 ? 스테이지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초기 위치에서 어떠한 위치로 이동을 시켜주는 장치입니다. (X,Y,Z) 좌표계로 설명하자면(X1,Y1,Z1)에 있는 것을 (X2,Y2,Z2)로 이동시켜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스테이지(Stage)의 종류스테이지의 종류는 분류하는 방법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1. 구동 방식에 따른 분류 1) Manual Stage (메뉴얼 스테이지)외부에서 수동으로 구동하여 움직이는 Stage 2) Motorized Stage (모터라이즈 스테이지)모터로 구동되어 움직이는 Stage 2. 축 구성에 따른 분류1) Single Stage (단축 스테이지)축이 1축으로 구성된 Stage2) Multi Stage (다축 스테이지)축이 2축이상으로 구성된 St..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입니다. 오늘은 위치 오차를 발생시키는 Yaw, Pitch Roll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물체가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경우 목표한대로 정확하게 이동을하면 좋겠지만 어떠한 외부 요인에 의해서 움직이는 물체는 이동하려는 목표대비 오차(Error)가 발생하게됩니다. 이 오차(Error)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으로 Yaw/Pitch/Roll이 있습니다. 어떠한 물체가 Y축을 따라서 이동을 하고 있을 때 외부 요인에 의해서 X,Y,Z축을 중심으로 물체가 회전을 하게됩니다. 이때 Z축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Yaw X축 (횡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Pitch Y축 (종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Roll 이라고 합니다. Yaw / Pitch / Roll이 가장 잘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