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실거래가/시세 조회방법
안녕하세요 똑순이밍쓰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실거래가/시세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 거래중 가장 많이 하시는 것이
내 집마련을 하려고 할 때
청약에 당첨되어 새 주택을 분양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이미 분양된 주택 또는 누군가 살고 있는 주택을
매입하는 것도 또다른 방법입니다.
내가 살 집을 구매하려고 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내가 구매 하려고하는 집의 가격 확인입니다
현재 구매하려고 하려고 하는 집의 가격이 얼마인지
그 집 주변의 다른 집 가격은 얼마인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나는 집을 5억 주고 샀는데, 바로 옆동에 있는 집은 4억이면..
얼마나 억울할까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구매 하려는 집 가격 뿐만아니라
주변 집의 가격도 확인하는 부동산 시세를 확인해야합니다.
시세가 얼마인지도 모르고 무턱대고 구매 하면 안되겠죠?
그럼 부동산 시세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공인중개사를 찾아다니면서 발품을 팔아야 할까요?
발품을 팔아야 한다면 내가 알 수 있는 정보는 너무 한정적이고
시간도 많이 소비되겠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인터넷 국토교통부에서 부동산 실거래가 확인하는 방법 입니다.
부동산 실거래가를 신고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 사항입니다.
신고 기간은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로 기간내 불이행 시 과태료가 발생합니다.
또한, 신고 후 계약이 해지되었다면 해지가 확정된 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이렇게 신고된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초록색 배너부분에 보시면
다양한 종류의 부동산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세를 확인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종류를 눌러봅니다.

왼쪽편에 보시면 기준년도, 주소를 검색하시면
지도상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한 실거래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 거래된 실거래가 말고
매물로 나온 부동산의 시세를 확인하고 싶다면
첫번째
네이버 부동산에서 부동산 시세를 확인 가능합니다.
네이버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포털사이트로
부동산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사람들이 등록해 놓은 매물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위 그림과 같은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위쪽 좌측 메뉴에 "매물"을 눌러서 접속을 합니다.

원하시는 부동산의 종류와 주소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정보에 맞는 매물의 시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KB부동산 Liiv On에서 부동산 시세를 확인 가능합니다.
네이버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현재 나와 있는 매물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위 그림과 같은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매물/시세"를 누르고 바로 접속하셔도되고,
"지역" 배너를 눌러서 주소로 검색하셔서 접속하여도 됩니다.

"주소"를 검색 후 접속하시면
이미 정보에 맞는 매물의 시세를 확인 하실 수 있고,
"매물/시세"를 누르고 접속하시면
부동산의 종류, 주소 등을 입력하면
정보에 맞는 매물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부동산, KB 부동산 Liiv On의 경우
시세뿐만 아니라 부동산 관련된 뉴스나 정보들도 확인이 가능하니
사이트를 천천히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